본문 바로가기

지식

한글날의 뜻과 의미를 알아보아요

 

한글날의 유래

 

일제 강점기 당시에 우리가 일본놈들에게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받고 있던때라서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우리 한글을 지키기위해서 한글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기로 했던것입니다

일제시대에 학교에서 한글 못쓰게 한거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셨죠?(나쁜넘들)

그래서 1926년 음력 9월 29일에 조선어 연구회가 이름을 짓고 기념한

'가갸날'이 한글날의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광복후 양력10월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어요

 

 

 

 

한글날의 유래

 

광복 직후인 1945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극히 높았다고 합니다.

글을 모른다면 지식을 배우기 어렵고,

생활이나 문화 수준 역시 향상되기 어려웠습니다.

한글날의 국경일 제정 의미는 한글의

우수성과 고마움을 마음에 새기자는 의미라고 합니다.

광복 이전부터 한글학회가 기념행사를 주관해왔습니다.

현재에는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서울시, 문화관광부 등

여러 기관에서 공동으로 기념식을 진행한 뒤,

문화공연 및 전시회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민간단체에서도 학술대회, 글짓기, 기념식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참여해보세요!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하며 작성했던

훈민정음의 첫 문장에는 '나라말과 한자가 통하지 않아,

백성이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펼치지 못한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모든 백성이 글을 익혀 의견을 표현하고

더 큰 세상을 경험하길 바랐던 세종대왕의 마음!

 

이번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중요성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며

뜻 깊고 의미 있는 한글날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세종대왕님께서 만드신 훈민정음

 

조선시대에는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모든 백성들은 한자로 글을 적어야 했습니다

 

교육을 받을수있는 양반들은 한자를 사용할수있었지만생활하기도 힘고 삼시세끼도 챙겨먹기 힘든평민들에게는 시간을내서 한자를 배우기는 너무나도 힘든 일이였습니다.

 

글을 제대로 읽고 쓰지못하는 백성들을 불쌍히 여긴 세종대왕은

 

학자들과함께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쓸수있는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문맹률이 낮아지다

 

이후 마음껏 한글을 배우고 쓸수있게 되면서

우리나라의 높았단 문맹률이 매우 낮아졌습니다.

 

 

 

한글의 우수성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배우고 쉬운 언어로 정평났다

드라마로 방영된 뿌리깊은나무에 한장면을 보면

천민으로 태어난 한아이가 한글을 배운지 10분만에

글자를 쓰는것을 볼수있다.

이런것을 볼때 한글은 누구에게다 매우 쉽게 습득할수있는

언어임을 알수있다.

 

한 글에는 몇 가지 뚜렷한 장점이 있다. 앞서 말했듯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는 것이다.

한글의 자음에는 조음음성학적인 원리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조음위치를 분명하게 파악하고 아(어금니), 설(혀), 순(입술), 치(이), 후(목구멍)로 나누고 그 원리로 글자를 만들었다.

소리를 만드는 위치,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 원리로 만들어져 무슨 소리인지 알기 쉽다.

글 자의 원리가 체계적이고 합리적이며 한글은 소리의 특성을 글자가 보여준다.

예를 들어 영어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K와G가 서로 소리가 비슷하고 T와 D가 그러하며 P와 B가 그러하지만,

비슷한 소리의 글자들 간에 서로 생김새가 다르고 음성적인 특징이 드러나지도 않는다.

하지만 한국 같은 경우에는 소리가 비슷한 ㄱ, ㅋ, ㄲ처럼 음성적 특징이 비슷한 것끼리 묶여 한 획씩을 더 그은 것이 전부다.

음성학적 이론, 특징을 전부 담고 있는 글자가 바로 우리의 한글이다.

한 글의 또 다른 장점은 발음이 다양하지 않다는 것이다. 영어 모음 ‘A’만 보더라도 'baby', 'bad', 'party'가 다르다.

모음이 다채롭게 발음되어 영어는 덜 진화한 음소문자다.

그에 비해 한글은 영어처럼 변화무쌍하지 않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어리석은 사람은 일주일이고 똑똑한 사람은 하루 만에 깨우쳐 읽을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대학수준의 교육을 받은 외국인들은 하루 만에 한글을 습득하여 우리말 간판을 읽을 수 있으니

발음이 고정되지 않아 알파벳을 배우고도 읽는 것이 어려운 영어와 달리 한글은 쉬운 문자다.